1.  <object> 태그 - 외부 파일 삽입하기


웹 브라우저에서 직접 재생할 수 없는 자바 애플릿이나 PDF 파일, 플래시 무비 같은 콘텐츠를 웹 문서 안에 포함시기키 위해 사용합니다.


<object data="경로" type="유형" name="이름" width="너비" height="높이"></object>


<img> 태그에서 src 속성을 반드시 사용해야 하듯이 특정 외부 파일을 가져와 표시할 것인지 여부를 알려주기 위해 최소한 data나 type 속성 둘 중 하나를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다.



2. <embed> 태그 - 외부 파일 삽입하기


<embed src="경로" type="유형" width="너비" height="높이">


<embed> 태그는 닫는 태그가 없고 주로 <object> 태그를 지원하지 않는 이전 브라우저에서 사용됩니다.



3. <audio> 태그 - 오디오 파일 삽입하기


HTML5에서 배경 음악이나 효과음 등 오디오를 삽입할 때는 <audio> 태그를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는 mp3 파일을 삽입합니다.


<audio src="오디오 파일 경로" [속성] [속성="속성 값"]</audio>


<audio> 태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속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속성

설명 

autoplay

오디오를 자동 재생한다. 

controls

웹 화면에 컨트롤 막대를 표시한다. 컨트롤 막대에는 재생/멈춤, 진행 바, 볼륨 등이 표시된다. 

loop

오디오를 반복 재생한다. 

muted

오디오를 재생해 진행하지만 소리는 끈다. 

preload

파일을 재생하기 전에 미디어 파일을 모두 다운로드할 것인지, 일부 정보만 다운로드 할 것인지 지정한다.

none - 미디어 파일을 미리 다운로드하지 않고 사용자가 재생 버튼을 눌러야만 다운로드를 시작한다.

metadata - 미디어 파일 전체를 다운로드하지 않고 메타 정보만 다운로드한다.

auto - 웹 문서를 로드할 때 미디어 파일도 모두 다운로드한다. 기본 값.

width, height

비디오의 크기를 조절한다. 

poster

비디오를 재생할 수 없을 경우, 대신 표시하는 이미지를 지정한다.



4. <video> 태그 - 비디오 파일 삽입하기


<video src="비디오 파일 경로" [속성] [속성="속성 값"]</video>


<video> 태극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속성은 <audio> 태그와 거의 일치한다.



5. <source> 태그 - 여러 미디어 파일 한꺼번에 지정하기


<source> 태그에는 미디어 파일의 경로를 지정하는 src 속성과 미디어 파일의 형식을 알려주는 type 속성을 사용합니다. 간단히 type 속성만 사용할 수도 있고 codecs 속성을 이용해 코덱까지 함께 표시할 수도 있습니다.


<video controls>
        <source src="media/Painting.ogv" type="video/ogg">
        <source src="media/Painting.mp4" type="video/mp4">
        <source src="media/Painting.webm" type="video/webm">
</video>



6. <track> 태그  - 자막 삽입하기


속성

설명 

kind 

자막의 종류를 지정한다.

subtitles - 비디오 화면에 표시되는 자막이다. 기본 값. 

captions - 비디오 화면에 표시되는 캡션이다. 청각장애인용 자막이거나 소리를 들을 수 없을 때 사용한다.

descriptions -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설명이다. 비디오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다.

chapters - 비디오 탐색을 위한 장 제목이다. 비디오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다.

metadata - 비디오 콘텐츠 정보이다. 비디오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다.

src

자막 테스트의 파일 경로를 지정한다. 

srclang 

사용한 언어를 지정한다. 

label 

자막이 여러 개일 경우, 식별할 수 있도록 제목을 달아 준다. 

default

자막이 여러 개일 경우, 기본으로 사용할 자막을 default로 지정할 수 있다. 


<track src="Wildlife.vtt" srclang="ko" label="Korean" default>





<출처> HTML5+CSS3 웹 표준의 정석

'IT >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5 시맨틱 태그  (0) 2017.04.20
[HTML 입문] 기타 폼 요소  (0) 2017.03.28
[HTML 입문] 여러 데이터를 나열하는 태그  (0) 2017.03.27
[HTML 입문] <input> 태그  (0) 2017.03.24
[HTML 입문] 폼을 만드는 기본적인 태그  (0) 2017.03.23

1. <header>태그 - 머리말 지정


사이트 전체의 헤더는 주로 페이지 맨 위쪽이나 왼쪽에 삽입하며 헤더의 내용으로는 주로 <form> 태그를 사용해 검색창을 넣거나 <nav> 태그를 사용해 사이트 메뉴를 넣습니다.



2. <nav> 태그 - 문서를 연결하는 내비게이션 링크


동일한 사이트 안의 문서나 다른 사이트의 문서로 연결하는 링크 모음을 나타냅니다. 푸터에 있는 사이트 링크 모음 부분에도 많이 사용됩니다.



3. <section> 태그 - 주제별 콘텐츠 영역


문맥 흐름 중에서 콘텐츠를 주제별로 묶을 때 사용하며 그 안에서 섹션 제목을 나타내는 <h1>~<h6> 제목 태그가 함께 사용됩니다.



4. <article> 태그 - 콘텐츠 내용


<section> 태그와 비슷해 혼동하기 쉬운 <article> 태그는 웹 상의 실제 내용을 넣습니다. 태그를 적용한 부분을 떼어 내 독립적으로 배포하거나 재사용하더라도 완전히 하나의 콘텐츠가 된다면 <article> 태그를 쓰면 됩니다.



5. <aside> 태그 - 본문 이외의 내용 표시


본문 내용 외에 주변에 표시되는 기타 내용들을 나타냅니다.



6. <iframe> 태그 - 외부 문서 삽입


일반적으로 웹 문서 안에 내용을 직접 입력하지만 다른 외부 문서를 삽입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인라인 프레임을 삽입하는 태그는 <iframe> 태그입니다.


<iframe src="삽입할 문서 주소" [속성 = "속성 값"] </iframe>


<iframe> 태그에서는 여러 속성을 이용해 원하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속성

설명

width

인라인 프레임의 너비다. 픽셀이나 백분율 값으로 표시한다. 

height

인라인 프레임의 높이다. 픽셀이나 백분율 값으로 표시한다.

name

인라인 프레임의 이름이다. 

src

프레임에 표시할 문서의 주소를 지정한다. 

 seamless

프레임의 테두리를 없애 마치 본문ㄴ의 일부처럼 보이도록 만들며 속성 값 없이 seamless라고 쓰면 된다. 

이 속성은 아직 크롬과 사파리에서만 지원한다. 



7. <footer> 태그 - 제작 정보와 저작권 정보 표시


사이트 제작자의 연락처 정보와 저작권 정보를 표시합니다.



8. <address> 태그 - 사이트 제작자 정보, 연락처 정보 표시


<address> 태그는 주로 <footer> 태그 안에 사용되는데 웹 페이지 제작자의 이름이나 제작자의 웹 페이지 또는 피드백을 위한 연락처 정보를 넣는 데 사용됩니다. 그리고 웹 사이트와 관련된 우편 주소도 <address> 태그 안에 포합시킵니다. 하지만 단순히 우편 주소를 표기할 용도라면 <p> 태그를 사용해 표시합니다.



<출처> HTML5+CSS3 웹 표준의 정석

'IT >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5와 멀티미디어  (0) 2017.04.21
[HTML 입문] 기타 폼 요소  (0) 2017.03.28
[HTML 입문] 여러 데이터를 나열하는 태그  (0) 2017.03.27
[HTML 입문] <input> 태그  (0) 2017.03.24
[HTML 입문] 폼을 만드는 기본적인 태그  (0) 2017.03.23

일반 문서와 웹 문서는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일반 문서는 내용을 입력하는 프로그램과 그 내용을 확인하는 프로그램이 같지만 웹 문서는 문서를 작성하는 프로그램과 그 내용을 보는 프로그램이 서로 다릅니다. 웹 문서를 작성하는 프로그램을 '웹 편집기(Web Editor)'라고 하고 웹 문서를 보는 프로그램을 '웹 브라우저(Web Browser)'라고 합니다.


웹 브라우저의 종류


웹 브라우저는 웹 사이트를 둘러볼 때 사용하거나 웹 편집기로 작성한 웹 문서를 화면에 표시해 주는 프로그램입니다. 현재 사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의 종류는 매우 다양합니다.

 브라우저 이름

 제조업체

 특징

크롬

구글 

빠른 업데이트를 통해 HTML5표준에 가장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어 최근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브라우저입니다. HTML5 지원 정도가 555점 만점에서 525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고 있습니다. 

파이어폭스

모질라 

일반 사용자들보다 개발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로 개발 도구와 부가 기능들이 뛰어납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마이크로소프트

HTML5에 대한 지원은 취약하지만 아직까지도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브라우저입니다. 윈도우 7 서비스팩1부터 지원하기 시작한 IE11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개발되지 않고 있습니다. 

엣지

 마이크로소프트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인터넷 익스플로러 대신 HTML5를 지원하기 위해 새로 개발해 윈도우 10에서 기본으로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입니다.



외에도 애플의 '사파리'나 오페라 재단의 '오페라' 브라우저도 있습니다.



웹 편집기의 종류


웹 문서를 만들 때 HTML 태그를 입력하는 프로그램을 '웹 편집기'라고 합니다. 웹 편집기에 HTML 소스를 입력하면 그 내용을 웹 브라우저로 읽는데 이 웹 편집기는 메모장이든 전문 편집기 프로그램이든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면 모두 가능합니다.


편집기 종류

 특징

텍스트 편집기

윈도우의 메모장이나 매킨토시의 텍스트 편집기, 한글, 워드를 이용해서 웹 문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태그를 일일이 직접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HTML 태그와 속성을 알고 있어야 하고 입력할 때 오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웹 편집기

웹을 위한 전용 편집기입니다. 태그와 속성, 일반 텍스트 등을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해주어 소스를 읽기 쉽고 편집기에 따라 태그나 속성의 일부만 입력하더라도 전체를 완성해주기 때문에 오타로 인한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윈도우용 - 노트패드++(무료), 에디트 플러스(유료)

맥용 - 텍스트메이트(무료), 코다(유료)

공용 - 드림위버(유료),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무료)

통합개발환경(IDE)

웹 IDE는 웹 편집기의 편리함과 함께 사용자에게 필요한 기발 환경을 한꺼번에 구축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웹 IDE 프로그램에는 비주얼 스튜디오 2015(무료, 유료), 웹스톰(무료), 서브라임 텍스트(무료, 유료) 등이 있습니다.

웹 기반 코드 편집기

웹 상에서 소스 코드를 입력하고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편집기입니다. 웹 코딩을 위한 시스템 환경을 만들거나 별도의 편집기 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고 브라우저 화면에 코드를 입력하고 결과를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팀 작업을 하면서 여러 팀원들과 소스를 공유하는 데도 유용하고 초보자의 코딩 연습용으로도 좋습니다. Codepen(http://codepen.io/)이나 JSFiddle(https://jsfiddle.net/), Liveweave(http://liveweave.com/), Plunker(http://plnkr.co/) 등이 있습니다.



<출처> Do it! HTML5+CSS3 웹 표준의 정석

HTML이란?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모든 파일에는 각각 고유의 형식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엑셀의 확장자는 *.xlsx이고 한글의 확장자는 *.hwp입니다. 웹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웹 사이트에서 사용할 문서는 *.html(또는 *.htm) 확장자를 붙여 다른 문서와 구분합니다. 


HTML은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랭귀지(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줄임말로 그대로 해석하면 하이퍼텍스트를 마크업하는 언어입니다. '하이퍼텍스트'란 웹 사이트에서 링크를 클릭해 다른 문서나 사이트로 즉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하고 '마크업'이란 태그(tag)를 사용해 문서에서 어느 부분이 제목이고 본문인지, 어느 부분이 사진이고 링크인지 표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웹에서 자유롭게 오갈 수 있는 웹 문서를 만드는 언어가 HTML이라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웹 편집기의 소스에서 꺾쇠 괄호(<, >)로 묶인 부분이 'HTML 태그(tag)'이고 이렇게 태그를 붙이는 것을 '마크업'이라고 합니다. 이 꺾쇠 괄호 안의 내용은 웹 브라우저 화면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 HTML5를 웹 표준 기술이라고 하는데 웹 표준은 웹 사이트를 만들 때 지켜야 하는 약속들을 정리한 것이다.

- 웹 표준을 지켜 사이트를 제작하면 일반 사용자는 장소나 브라우저와 상관없이 쉽게 웹사이트를 볼수 있고 웹 개발자와 디자이너들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에서 HTML5를 지원하게 되면서 'HTML'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 HTML5 표준안부터는 웹 브라우저 업체들이 함께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 표준안이 업그레이드될 때마다 웹 브라우저 업체에서 발 빠르게 수용하고 있다. 현재 표준안 명세(HTML 5.1)는 http://www.w3c.org/TR/html에서 확인할 수 있고 진행 중인 명세(HTML 5.2)는 https://w3c.github.io/html/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Do it! HTML5+CSS3 웹 표준의 정석

+ Recent posts